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비자4

89 (미국) 100만 달러 골드카드 / H-1B 비자 10만 달러 추가수수료 미국의 H‑1B 비자 개편, “골든카드 (Gold Card)” 비자 제안 등 최근 비자 정책 변화는 아직 확정되지 않은 법령 수준의 구상과 대통령 행정명령(proclamation) 혼재된 상태입니다. 다만 현 시점에서 공개된 내용을 바탕으로 “무엇이 바뀌고 있고, 앞으로 유의할 점은 무엇인지”를 정리하였으니 참고하기 바란다.1. H‑1B 비자 관련 변화 및 쟁점변화 요약$100,000 추가 수수료 부과 (신규 신청자 대상)2025년 9월 19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H‑1B 비자 신청 시 고용주가 내야 할 한 번의 수수료로 10만 달러를 부과하는 내용의 대통령 선언문(proclamation)을 발표했다. 이 수수료는 기존의 신청 수수료에 추가되는 형태다. 다만 이 수수료는 기존 H‑1B 비자를 보유 .. 2025. 9. 26.
88 (캐나다) 이민자 중에서 인도인 유입 1위 캐나다에서 최근 수년간 수많은 인도인들이 유입되고 현지에 융화되는게 아니라 인도 문화를 고수하면서 현지인들이 여기가 캐나다가 아니라 인도 같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이에 캐나다 정부에서는 2025년 1월부터 6월까지 신청된 학생비자의 80%를 거절하는 등 급하게 관리하는 모양새가 나오고 있는듯 하다. ▣ 캐나다에 유입된 영주권자(PR) 출신국가 인구 상위 Top5연도인도중국필리핀나이지리아아프가니스탄2022년약 118,095명약 31,815명약 22,070명약 22,085명약 23,735명2023년약 139,715명약 31,765명약 26,950명약 17,445명약 20,165명2024년약 127,320명약 29,950명약 32,300명약 20,380명약 12,280명 2022~2024 3개년 동안 캐나.. 2025. 9. 25.
53 (미국) 500만 달러 영주권 판매예정 ; 각국 영주권 취득비용 비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25.02.05. 기존 투자이민제도인 EB-5 그린비자 를 폐지하는 대신에, 골드카드를 500만달러(한화 73억원& 일자리창출)에 영주권을 판매하는 것으로 대체하여 국가 재정 충당하여 적자를 줄이는 방안을 시사하였다.   ■ 각국 영주권 취득 비용 (단위: 달러, 2025.03.08.자 헨리&파트너스 자료기준)국가명달러(각국 통화 환산 변동)비고싱가포르750만기업에 투자시 거주권 제공미국(골드카드)500만트럼프 대통령 영주권 판매홍콩380만순자산 요건: 3000만 홍콩달러뉴질랜드280만25년4월부활 500만 뉴질랜드달러영국254만스타트업 펀드에 납입 조건미국(EB-5)90~180만기업에 최 80만달러+일자리한국2010년 제주,인천,강원 관광휴양시설 투자후 5년 유지2023년부터 .. 2025. 3. 13.
38. (그리스 골든비자) 2025.2.28.까지 부동산 매수시 기존 투자금 적용 그리스 부동산투자 골든비자는 2023년 10월 포르투갈 골든비자 부동산투자옵션이 폐지되기 전후 시점인 2023년 ~ 2024년 외국인 투자자들의 많은 선택을 받았습니다. 물론 이러한 비자신청 급증의 또다른 원인엔  2024.03.31. 이민법 변경하면서 투자금 인상의 유예기간을 계속 연장해 왔던 것도 한 몫한 것으로 사료된다.     현재 2025년 2월말까지 그리스 부동산 골든비자 프로그램은 투자 인기지역은 50만 유로 이상, 그 외 지역은 25만 유로 이상의 그리스 소재 부동산을 매수할 경우 가능하지만, 2025년 3월 이후 부터는 2024.3.31. 개정된 이민법의 투자금액 상향의 적용되면서 신청이 감소할수도 있을 듯,,, 그리스 대상 지역최소 투자금평수 제한용도 제한개정 前개정 後개정 후(2024.. 2025. 2.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