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병의원 본인확인 강화제도에 관해서 살펴 본 것처럼 앞으로 본인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실물 신분증 또는 모바일 건강보험증 등을 지니고서 병의원을 방문하셔야 되는데요
여기서 실물 신분증이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건강보험증, 장애인등록증, 국가보훈등록증, 외국인등록증, 외국국적동포국내거소증, 영주증 등이며, 모바일 건강보험증과 모바일 신분증(운전면허증, 국가보훈증) 등이 이에 해당되구요
오늘은 위와 같은 본인 확인 가능한 여러 신분증 중에서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발급받는 방법에 대해 알려 드릴께요
먼저 자신의 핸드폰을 준비하신 후 화면에서 'play 스토어'를 클릭해서 돋보기 모양의 '검색'을 누르고 거기에 '건강보험증'이라고 쓰고 돋보기 모양의 그림을 눌르면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이 나타나는데 우측에 '열기'를 눌러 주셔서 설치하면 아래 우측하단과 같이 핸드폰 바탕화면에 앱이 깔리게 되구요
![]() |
![]() |
![]() |
그후론 핸드폰 바탕화면의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을 클릭시 아래 흐름과 같이 진행되는데 경고사항 읽고 닫기를 누른 후
개인 or 요양기관 여부를 체크하는 창에서 '개인입니까'를 선택하고 언어를 한국어로 선택하고선 다음 다음 다음을 누르고
'기능접근권한 안내알림 허용' 및 '서비스이용을 위한 정보수집약관 동의' 그리고 '통신사를 통한 본인인증'의 절차를 완료하면 됩니다
![]() |
![]() |
![]() |
![]() |
![]() |
![]() |
마지막으로 통신사를 통한 본인 인증 완료시 비밀번호 4자리를 등록하라고 하는데, 이때 동일하거나 연속되는 숫자 또는 생년월일 3자리를 비밀번호로 사용할 수 없으며, 비밀번호 절차 완료시 생체인증으로 로그인하겠는지 여부를 묻는 창이
나오는데 지문 또한 등록해 놓으면 비밀번호를 잊었을 때에 매우 유용할거예요
![]() |
![]() |
![]() |
![]() |
![]() |
![]() |
다만, 한 사람당 자신 명의의 스마트폰 1대로만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설치할 수 있기에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https://youtube.com/shorts/zJToy0miPW8?feature=share
'정책 경제 토픽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S TV 수신료 해지방법 (12) | 2024.09.20 |
---|---|
스마트폰에서 '보안위험 자동차단' 설정하기 (스미싱 차단) (2) | 2024.09.18 |
추석 성묘객 묘지 북적 귀경길 정체 - 살인진드기 기피제 스프레이파스 필수 (10) | 2024.09.17 |
병의원,약국 본인확인 강화제도 계도기간 종료로 본격 시행 (4) | 2024.09.13 |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를 통한, 불법 대출 및 피싱 피해 원천 봉쇄 (4) | 2024.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