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9월 15일 영국에서 15만명으로 추정되는 반이민 시위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최근 수년간 불법 이민자와 망명 신청자가 급증하면서 이로 인한 재정 악화 조짐이 보이는 등 여러가지 문제에 대해 아래와 같이 살펴 보도록 한다.
1. 최근 민심과 이민 관련 시위/집회의 배경
원인
- 난민/망명 신청자 수 증가
최근 몇 년간 영국으로 오는 망명 신청자(asylum seekers)가 많이 늘었고, 정부는 이들을 호텔 등 임시 숙소에 입주시켜 관리해 왔는데, 이 숙소들이 지역사회에 일정 수준 부담이 되고 있다는 불만이 커지고 있음. - 공공 서비스 및 주택 압력
이민자 수가 늘면서 주택 부족(housing), 학교·의료·기초 복지 서비스 시설의 수요 과잉, 임대료 상승 등 지역적 압박이 생기고 있음. 일부 보고서에서는 순이민(net migration)이 지난 10년 동안 잉글랜드의 주택 적자(housing deficit)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는 지적도 나옴. - 정치적 분위기·담론의 변화
공중 여론 조사(polls)에서 이민(immigration)이 주요 이슈로 대두되고 있고, 정부 정책이 이 부분에서 유권자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불만도 커지고 있음. 예컨대 최근 Ipsos 조사에서 응답자 중 거의 절반이 “이민이 지금 영국이 직면한 가장 중요한 문제”이라고 답함.
또한 반이민 시위들은 ‘반(anti)-migration’, ‘불법 이민’ 혹은 망명 정책(asylum policy) 등에 대한 불만이 주축인데, 일부 극우 단체나 정당의 조직적 지원 또는 방조가 있다는 목소리도 있음. - 법적·제도적 대응의 한계
망명신청 절차의 지연, 숙소 부족, 주택 이동(move-on period) 조건 변화 등 제도 변화가 불만을 자극하는 요소임. 예컨대, 망명 허가를 받은 사람들이 공적인 숙소를 떠나야 하는 기간(move-on period)을 단축하려는 정책 등이 비판받고 있음.
사회적 영향
- 시위가 지역 사회의 불안감, 분열(polarisation)을 증폭시키고, 경우에 따라 경찰 충돌이나 공공질서 문제로 비화됨.
- 반(anti)-이민 담론이 미디어, 정당 정치, 의회 담론에서도 강화됨. 최근 의회발언(parliamentary discourse) 연구에서도 ‘불법 이민(border control, illegal migration)’ 같은 안보(security)·통제(control)의 프레임이 더 많이 쓰이고, 공동체 통합(social integration)이나 인권(human rights) 중심 논의는 상대적으로 줄었다는 분석이 나옴.
https://youtu.be/xQLe3TRZArg?si=rZBZRLltktL7qGJg
2. 영국의 경제 상황: 어떤 문제들이 겹쳐 있는가
다음은 이민 이슈와 맞물려 있는 경제 지표들과 구조적 문제들.
지표/요인 | 현재 상황 | 변화의미 & 시사점 |
GDP 성장률 | 최근 몇 분기 동안 성장률이 매우 낮거나 거의 정체 수준. (예: 분기별 GDP 성장률 둔화, 제조업·산업생산 감소 등) |
성장 동력이 부족하고, 투자 및 소비가 활발하지 않다는 뜻. 정책 여지가 제한됨. |
인플레이션 & 금리 | 소비자 물가 상승률(CPI)이 여전히 중앙은행 목표치(약 2%)보다 높음(3~4%대). 영란은행(Bank of England)은 금리를 꽤 올린 상태이며, 최근 금리를 유지하거나 완화 가능성 조차 신중히 접근 중. | 물가 상승 압력이 가계 실질 구매력을 갉아먹고, 금리 인상은 투자·대출 부담을 증가시켜 경기 둔화 위험을 높임. |
실업률 / 고용시장 | 실업률이 최근 연도 대비 상승 추세, 4.7% 정도로 과거 수년 중 높은 수준. 취업자 수/employment rate은 일부 증가 있음. 다만 일자리 공석(job vacancies)이 줄고 있음. | 노동 시장의 공급-수요 격차가 완화될 가능성이 보임. 하지만 임금 성장(wage growth)은 인플레이션을 따라가지 못함 → 실질 임금(real wages) 감소, 생활비(cost-of-living) 압박 지속. |
생산성(Productivity) | 전반적으로 생산성 성장률이 낮음. 시간당 생산(output per hour) 증가가 낮고, 특히 금융 서비스(financial services)나 수출(export) 부문에서 약한 모습. | 생산성이 낮으면 성장 지속 가능성이 떨어지고, 임금 상승 여지가 제한됨. 또한 글로벌 경쟁력(무역, 외국 투자 유치)에서도 불리함. |
브렉시트(Brexit)의 영향 | 노동력(labour supply) 감소, 무역 절차 증가로 비용 상승, 투자 불확실성 증대, 서비스 및 상품 수출에 마찰(bottleneck) 등. 브렉시트 이후 예측보다 투자(investment)가 덜 이루어졌고, EU와의 관계 조정 비용(costs)도 여전함. | 구조적 충격(structural shock)으로 작용. 단기 조치로는 해결 어려운 부분들이 많음. 정책적 불확실성 지속. |
생활비(cost-of-living) 위기 | 에너지비, 주택비(rent, mortgage), 식료품(food) 가격 상승이 가계에 실질적으로 부담. 인플레이션이 높을 뿐 아니라 일부 필수 품목(price volatility)에서 급등이 있음. & 임금 상승이 인플레이션을 따라가지 못함. | 소비 여력이 줄어들면서 소비 수요 위축 가능성, 가계 부채(household debt) 증가, 빈곤(poverty) 및 사회 불평등(social inequality) 심화 위험. |
https://youtu.be/18OMnX34wWQ?si=xA0E51opTxjSgIUM
3. 반이민 시위 + 경제 위기의 상관관계, 그리고 잠재적 위험
이민 관련 시위와 경제 문제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가 있다.
- 정치적 불안(political instability)의 확대
경제가 부진하고 생활비가 올라가면, 국민들은 정부 정책(이민 정책 포함)에 더욱 민감해지고 불만이 쌓이기 쉬움. 이민자는 흔히 ‘외부 위협자(out-group)’ 프레임으로 쉬운 타깃이 됨. - 공공 재정(fiscal burden) 논의 증가
이민 관련 숙박비(asylum hotel), 복지(welfare), 주택 공급(housing) 등의 비용이 커지면서, 정부 재정부담이 커지고, 이를 어떻게 분담하거나 줄일 것인가가 정책 논쟁 중심이 됨. - 사회적 분열(social cohesion)과 갈등
지역별로 이민자가 많이 거주하는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 간 생활 조건·자원 접근성(resource allocation)에 대한 불균형이 갈등 요인이 되고, 언론과 정당에서도 반이민 정서를 선동하여 표심(political capital)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있음. - 정책적 역설(policy trade-offs)
정부는 이민을 통제하고 싶어하지만, 동시에 노동력 부족(labour shortages)이 있는 분야(의료, 건설, 농업 등)에서는 이민자들이 필요함. 과도한 이민 억제는 장기적으로는 성장성(growth), 생산성(productivity), 소비자 물가 안정(price stability)에 역효과를 줄 수 있음. - 글로벌 환경 변화
에너지 가격 불확실성, 세계적인 금융 긴축(global monetary tightening), 무역 환경 변화 등이 겹치면서 영국은 외부 충격(external shocks)에 취약한 상태임.

728x90
반응형
'포르투갈 등 해외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86 (포르투갈) 아름다운 해변 Top20 / 누드 해변 Top9 (191) | 2025.09.18 |
---|---|
85 (프랑스) 국가부채 5400조원 재정 파탄으로 파산 직전 (259) | 2025.09.16 |
84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서점 Top10) 1000 Libraries Awards 2025 (175) | 2025.09.15 |
83 (한국인) 이민 갔다가 되돌아 오는 국가 Top10 (163) | 2025.09.14 |
82 (한국인) 이민 선호하고 안전한 서구권 Top 7 (29) | 2025.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