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르투갈 등 해외 소식

88 (캐나다) 이민자 중에서 인도인 유입 1위

by 리스본 지기(호재 이슈) 2025. 9. 25.
반응형

 

 

 

 

캐나다에서 최근 수년간 수많은 인도인들이 유입되고 현지에 융화되는게 아니라 인도 문화를 고수하면서 현지인들이 여기가 캐나다가 아니라 인도 같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이에 캐나다 정부에서는 2025년 1월부터 6월까지 신청된 학생비자의 80%를 거절하는 등 급하게 관리하는 모양새가 나오고 있는듯 하다.

 

▣ 캐나다에 유입된 영주권자(PR) 출신국가 인구 상위 Top5

연도 인도 중국 필리핀 나이지리아 아프가니스탄
2022년  118,095명  31,815명  22,070명  22,085명  23,735명
2023년  139,715명  31,765명  26,950명  17,445명  20,165명
2024년  127,320명  29,950명  32,300명  20,380명  12,280명

 

2022~2024 3개년 동안 캐나다로 유입된 전체 영주권자(PR) 중에서 1/3 이상이 인도 출신이고, 유학생 비율도 매우 높아서 일부 지역 컬리지는 학생의 50~70%가 인도계일 정도이며, 숙련 기술자, 학생, 가족 이민 등 여러 카테고리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데, 인도의 인구 규모, 영어 구사 가능성, 그리고 Express Entry 프로그램에서 인도 출신 신청자들이 많은 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그런데, 인도계 이민자들이 2025년 캐나다 브램튼 힌두교 사원에서 북미에서 가장 높은 규모55피트 높이의 힌두교 신 한우만(Lord Hanuman) 동상을, 캐나다 미시소가(Mississauga)에서도 피어슨 공항 인근의 사원에 Lord Ram의 51피트 동상(기초 제외)이 세워졌고, 인도인 결혼식때 2~3일간 모여서 밤새도록 노래와 춤을 추며 이웃에 민폐를 끼칠 뿐만 아니라 인도인들이 대가족 단위로 이민을 오면서 주택난, 의료와 교육 인프라가 과밀되어 불만을 초래하고 있다.

 

 

2023년 캐나다 시민이자 시크교 분리주의자가 힌두교인에 의해 피살된 사건관련 캐나다–인도 관계에서 긴장과 갈등이 있었고, 최근 수년간 인도인들의 유입이 급격히 늘면서 올해 들어 국제학생 학생비자 상한선을 더 높이고 재정증명 요건 및 언어/학업계획요건을 강화하며 간소화된 절자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있다.

 

 

 

캐나다 정부가 전년 동기 대비 학생비자 신청의 80%를 거부하고 단기 근로자 비자 발급 수가 63%로 떨어지면서 그 대안으로 인도 학생들은 독일, 아일랜드, 프랑스, 아랍에미레이트, 일본 순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한다.

이상으로 캐나다 이민 출신 국가 1위인 인도인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며 캐나다 영주권 및 비자에 관해서는 영상 아래 별도로 정리하였으니 참고하면 될 듯 싶다.

 

 

 

https://youtu.be/BxtcD-J--hQ?si=saGq2_rPRykyI7S2

 

 


 

▣ 캐나다 이민 비자 / 영주권 프로그램 개요 (전문가 관점)

이민을 고려할 때 알아야 할 주요 카테고리, 요구 조건, 장단점 등을 아래와 같이 정리한다.


주요 영주권(Permanent Resident, PR) 프로그램

  1. Express Entry (연방 숙련 기술자 / 숙련 직업인 / 캐나다 경험자 클래스 등)
    • Federal Skilled Worker Program (FSWP): 경력, 학력, 언어 능력, 나이, 적응력(admissibility) 등을 점수화해서 평가. 
    • Federal Skilled Trades Program: 특정 기술 직종(trades) 보유자 대상으로. 
    • Canadian Experience Class (CEC): 이미 캐나다에서 공부하거나 일한 경험이 있는 외국인들이 PR을 신청하는 경로. 익숙함, 언어, 현지 경험 등이 유리하게 작용. 
  2. Provincial Nominee Program (PNP)
    • 각 주(Province) 또는 준주(Territory)가 주정부 필요에 따라 기술자, 졸업생, 특정 산업 필요자 등을 대상으로 선별하여 후보자를 추천(nomination)함. 
    • “Enhanced PNP” 스트림은 Express Entry과 연결되어, 지명(nomination)을 받으면 CRS 점수에 큰 보너스(예: 600점)를 주어 PR 초청(Invitation to Apply, ITA)을 받는 데 유리함.
    • 또 주마다 비-Express Entry PNP 스트림도 있어서 점수 시스템 없이 자체 기준으로 PR 신청 가능. 단 처리기간이나 경쟁률이 다를 수 있음. 
  3. Family Class (가족초청 이민)
    • 캐나다 시민권자 혹은 영주권자가 자신의 배우자, 배우자와 같은 배우자(ex: common‑law partner), 부양 자녀(dependent child), 부모 및 조부모 등을 스폰서(sponsor)하여 이민하게 할 수 있음. 
  4. Refugee / Humanitarian & Protected Persons
    • 난민 또는 박해, 위험 등 인도주의적 사유가 있는 경우. 캐나다 정부가 직접 지원(government‑assisted refugees), 혹은 민간 후원(private sponsorship) 형태, 보호자격(protected persons) 등이 있음.
  5. Business / Entrepreneur / Self‑Employed 경로
    • 사업 투자자, 창업자, 자영업자(self‑employed)로서 캐나다 사회/경제에 기여할 가능성 있는 경우. 주마다 요건이 다르고 자본금, 사업 계획, 고용 창출 능력 등이 중요함. 하지만 최근에는 이 경로가 예전보다 제한적임.

임시 허가 / 체류비자 (Temporary Status) 관련

정착 전에 또는 PR 신청 전에 임시 체류자로 캐나다에 들어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가 대표적인 것들:

  • 학생 비자 (Study Permit): 대학/컬리지/언어학교 공부 목적으로 입국. 공부하면서 파트타임 일 가능, 졸업 후 취업비자(Post‑Graduation Work Permit, PGWP) 등을 통해 경력을 쌓아 PR 경로로 연결 가능.
  • 취업 비자 / 워크 퍼밋 (Work Permit / Temporary Foreign Worker Program 등): 단기 또는 장기 취업을 위해 주어지는 허가. 특정 직종이나 고용주 조건이 붙는 경우 많고, 임시 체류 후 영주권 신청 경로로 연결되는 경우도 있음 (예: 직장 경험 + Express Entry / PNP).
  • 방문자 / 관광비자: 단기 체류용. 일반적으로 영주권 취득 경로로 직접은 되지 않음.

최근 추세 및 고려할 점

전문가로서 보면, 아래 요소들이 최근 몇 년간, 그리고 앞으로도 이민 계획 시 중요하다고 봅니다.

  1. 언어 능력 (영어 또는 프랑스어)
    • 특히 Express Entry나 PNP에서 중요함. 언어 시험 점수 높을수록 CRS 점수가 유리.
    • 프랑스어 구사 능력은 퀘벡(Quebec) 뿐 아니라 연방 차원에서도 추가 점수 요소가 됨.
  2. 학력 및 경력 증명
    • 해외 학위의 평가(educational credential assessment, ECA) 필요.
    • 관련 직업 경력 / 직무에 맞는 NOC 코드(job classification) 매칭 중요.
  3. PNP + Express Entry 조합 활용
    • PNP 지명을 받으면 Express Entry 내에서 강한 우위를 확보 가능 (보너스 점수 등).
    • 어느 주가 어떤 산업을 필요로 하는지 정보를 세밀히 조사하는 것이 필요함.
  4. 생계비 및 정착자금
    • PR을 신청할 때 또는 PNP/Express Entry 경로에서 신청자에게 정착자금(funds) 증명이 요구됨. 특히 가족이 함께 오는 경우 더 높음.
    • 이민 후 살 주(State/Province), 생활비, 고용 기회 등을 미리 조사해야 함.
  5. 정책 변화에 대한 주시
    • 이민 쿼터, PR 승인 속도, 비자 조건 등이 정부 정책에 따라 자주 바뀜.
    • 코비드-19, 국제 분쟁, 난민 위기 등이 이민 흐름을 바꾸는 요인이 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