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 9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2.4%로 낮아지자 2024년 9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0.5% 포인트 인하하는 빗컷을 단행했을 뿐만 아니라 이미 유럽연합과 영국, 캐나다 등 주요국 들도 미국의 앞서 금리를 내린 상황에서 2024.10.11. 한국은행 또한 내수 회복 부진과 국내 물가 상승률의 2.0% 이하 안정 추세 그리고 중동지역 리스크에 따른 국제유가 변동 등 높은 불확실성 등을 이유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를 하였다.
유럽ECB 연속 금리인하 예상 (독일 역성장) |
2024년 06월 피벗 시작 (0.25% 기준금리 인하) | 기존 4.00% | 3.75% 변경 |
2024년 09월 0.25%포인트 다시 인하 | 기존 3.75% | 3.50% 변경 | |
2024년 10월 0.25%포인트 인하 예상 | 기존 3.50% | 3.25% 변경 | |
2024년 12월 0.25%포인트 인하 예상 | 기존 3.25% | 3.00% 변경 |
이는 3년 2개월 만에 이루어진 피벗(통화정책 방향전환)으로 통화긴축 마무리에 진입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한국 경제의 내수 회복 지연, 국내 물가 상승률 2.0% 전후 안정 추세, 중동 리스크에 의한 국제유가 변동 등 높은 불확실성 등을 근거로 한 것이다.
한국은행 피벗추이 |
2020년 05월 0.25%포인트 기준금리 인하 | 기존 0.75% | 0.50% 변경 |
2021년 08월 0.25%포인트 기준금리 인상 | 기존 0.50% | 0.75% 변경 | |
2024년 10월 0.25%포인트 기준금리 인하 | 기존 3.50% | 3.25% 변경 |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내수 부진 또한 금리인하의 배경이라 할 수 있는데, 2024년 2분기 한국 실질 GDP가 2022년 4분기 -0.5% 이후로 1년 6개월 만에 2024년 1분기 대비 마이너스 0.2% 역성장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출처: 2024.10.11.자 매일경제, 2024.10.11. 연합뉴스 등 참조)
https://youtube.com/shorts/PVn_A0m3uRI?si=ReSnZECFls0vkbmY
728x90
반응형
'정책 경제 토픽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국 어린이의 키를 작게 하는 경제위기 극복하려나 (6) | 2024.10.15 |
---|---|
독일 자동차 폭스바겐 공장폐쇄 및 부품업체, 철강업계 구조조정 (8) | 2024.10.14 |
독일 '유럽의 병자' 재연되나 2년 연속 마이너스 저성장 (16) | 2024.10.10 |
스웨덴을 버리고 탈출하는 고소득 청년들 (14) | 2024.10.09 |
상추,깻잎 장당 100원 이상! 고기에 金상추 싸먹을 형국 (12) | 2024.10.04 |